들어가며
사지방(사이버 지식 정보방)에서 코딩을 하려고 하면 보통 하모니카 os
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Visual Studio Code
를 이용하게 됩니다.
하지만 컴퓨터를 재부팅하면 파일들이 모두 날라가게 되고 root
권한을 획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발에 많은 무리가 있습니다. 그렇다고 구름 IDE
같은 웹 IDE를 사용하자니 여러 제약 사항들과 VS Code
에서 지원하는기능들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이 문제가 됩니다.
이러한 경우에 code-server
가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.
code-server
code-server
는 VS Code
를 웹 브라우저에서 접속하여 VS Code
개발 환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
하모니카 OS
에도 웹 브라우저는 있으므로 code-server
를 이용해 VS Code
와 동일한 개발환경에서 코딩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. 개인 컴퓨터를 이용하여 code-server
를 띄울 수도 있지만 예상치 못한 여러 변수가 있을 수 있으니 VPS
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
글에서는 GCP(Google Cloud Platform)
를 이용하여 개인 서버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.
GCP
GCP(Google Cloud Platform)
은 신규 사용자에게 3달의 사용기한이 있는 300$의 무료 크레딧을 제공해줍니다. 이 무료 크레딧을 이용하여 성능 좋은 개인 서버를 만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.
GCP 인스턴스 생성
- 먼저 GCP에 접속을 해줍니다.
2. 이러한 화면이 나올텐데 가운데에 대문짝만하게 적혀있는 무료로 시작하기를 눌러 로그인까지 진행해줍니다.
3. 좌측 상단에 있는 탐색 메뉴 > Compute Engine > VM 인스턴스로 들어간 뒤
인스턴스 만들기
를 눌러 VM 설정을 진행합니다.
- 리전은 서울, 머신 구성은 시리즈 E2, 유형은 e2-highmem-2로 해줍니다.
- 부팅 디스크는 Ubuntu 18.04LTS, 크기는 100GB로 해주고, 방화벽에서 HTTP 허용, HTTPS 트래픽 허용을 체크해줍니다. (HTTP 트래픽 허용은 이후 code-server 접속을 위해 꼭 체크해야 합니다.)
- 비용은 한 달 약 100$ 로 3달, 300$인 무료 크레딧을 아주 알차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- 인스턴스를 만들었다면 이러한 화면이 나올텐데 제일 우측 연결 탭에서 SSH 접속을 눌러줍니다.
이렇게 SSH 콘솔 창이 뜨면 성공입니다.
1편은 여기서 마치고 다음 편에서는 VM
에 docker
를 설치하고 본격적으로 code-server
를 띄워보도록 하겠습니다.